안녕하세요. Jwnism 입니다.
일반인들에게 Intel보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AMD의 회사 소개와 함께
AMD의 CPU와 Intel의 CPU를 비교하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AMD (Advanced Micro Devices)]
AMD(Advanced Micro Devices)는 1964년 설립되며 집적회로를 생산하는 회사로, 현재 CPU 시장에서 Intel과 비슷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규모의 회사입니다. Intel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x86 코드 프로세서의 64비트 아키텍처를 이루는 CP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⑴ AMD64 시리즈
- A시리즈, 애슬론, 옵테론, 튜리온, 셈프론, 페넘, 불도저, 라이젠(Ryzen)
⑵ Intel64 시리즈
- 셀러론, 펜티엄, 제온, 코어, 아톰
이름만 보았을 때, 컴퓨터에 잘 모르시는 분들도 Intel CPU 중 펜티엄은 낯이 익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2000년대 초반, 고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던 데스크탑 컴퓨터에 펜티엄 CPU가 탑재되어 있었습니다. 컴퓨터 광고에서 펜티엄을 강조한 덕분에 많은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있는 CPU 입니다. 저 또한 아직도 광고에서 들리던 음성과 대사가 기억에 남습니다.
데스크탑 컴퓨터 뿐만 아니라, 노트북에서도 Intel CPU가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불과 3년 전만 해도, 20 만원~40 만원 미만의 저가형 노트북은 Intel의 셀러론 CPU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대부분의 보급형 노트북에서는 Intel의 주력 모델인 코어 시리즈(I3, I5, I7)를 주로 탑재하고 있었습니다.
이처럼, AMD도 라이젠 CPU를 처음 출시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애슬론을 시작으로 불도저 시리즈까지 출시하였으나, Intel64 시리즈가 CPU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가지며 명성과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AMD vs Intel CPU 대응 모델]
⑴ 저사양 모델 : A시리즈 vs 셀러론
- 컴퓨터의 원초적 기능인 간단한 계산과 메모만 가능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립니다.
⑵ 보급 모델 : 애슬론 vs 펜티엄
- 오피스 문서 작성 및 인터넷 서핑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CPU 모델
※ ⑴과 ⑵ 의 모델에는 터보 부스트(Turbo Boost)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진과 영상 편집, 고사양 게임 등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작업을 진행할 시 느리거나 실행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⑶ 주력 모델 : 라이젠 vs 코어
※ 터보 부스트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제가 구매한 가성비 노트북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에 탑재된 터보 부스트 뿐만 아니라 멀티 스레딩 등 용어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2017년 이후, 라이젠 시리즈를 출시하며 Intel의 코어 시리즈와 비교할 때, 성능 부분에서 거의 동급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CPU의 가격도 더 저렴하여 노트북 제조사들이 AMD CPU를 많이 탑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Intel은 나노 공정 기술 발전에 제약이 있어 약간 정체하고 있는 중입니다.
노트북을 구매할 때 제품 설명에 AMD CPU가 적혀 있고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면, 위의 대응 모델을 참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AMD CPU와 Intel CPU의 비교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노트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D CPU 라이젠 4500u 성능 용어 설명 : 공정, 멀티 쓰레드, TDP (0) | 2020.06.15 |
---|---|
AMD CPU 라이젠 4500u 성능 용어 설명 : 터보 부스트, 헥사 코어 (0) | 2020.06.14 |
14인치 가성비 노트북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 R5 개봉 및 용어 설명 (1) | 2020.06.11 |
14인치 노트북 :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 구매 이유 (1) | 2020.06.10 |
노트북 구매 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컴퓨터 용어(CPU, HDD, SSD, RAM)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