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북

노트북을 구매할 때 놓치지 말고 확인해야 할 부가 요소 : eMMC, SATA

안녕하세요. Jwnism 입니다.

노트북을 구매할 때, 놓치지 말고 확인해야 할 부가 요소가 있습니다. 먼저, HDD인지 SSD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SSD여도 모두가 같은 SSD가 아니기 때문에, 어떠한 규격과 접목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노트북을 구매해야 합니다.

포스팅을 두 번에 나누어서 SSD와 관련된 용어 및 규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보조 기억 장치는 HDD와 SSD 두 종류가 있습니다. 요새 출시되는 노트북은 전력 소모가 낮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른 SSD가 주로 장착되어있습니다. HDD의 장점이었던 대용량 저장 기능이 SSD에서도 가능하게 되면서 점차 사용자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확인해야 할 부가요소는 SSD에도 규격에 따른 종류가 있다는 것입니다. SSD는 크게 3가지 규격으로 나누어져 있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SSD와 관련한 간단한 용어부터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플래시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는 전자 제품을 이루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장치로, 데이터가 소멸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 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에 대부분 탑재되어 있습니다.

* 장점

⑴ 전원 공급이 멈추어도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고 기억됩니다.

⑵ 전력 소모가 낮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⑶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이 자유로우며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빠릅니다.

⑷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 단점

⑴ 데이터 입력과 출력(Input and Output) 인터페이스에서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 순서에 맞춰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⑵ 데이터가 겹쳐서 전송되거나,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먼저 입력과 출력이 되는 순으로 처리가 됩니다.

⑶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 후 저장하려면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워야 합니다.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란, CPU와 입출력 장치를 결합하여 서로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기억 장치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잘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NAND 플래시]

- 밀도가 높아 반도체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반도체를 생산하는 대기업에서 지속 개발에 착수 중입니다. 데이터 저장과 삭제하는 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그래서 노트북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USB 메모리 드라이브, SSD 등)


[규격에 따른 SSD 종류]

1. eMMC (Embedded MultiMediaCard)

-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내장형 멀티미디어 메모리 카드입니다.

⑴ 데이터를 읽는 속도는 250Mb/s, 쓰는 속도는 125Mb/s 입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린 만큼 적은 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합니다.

⑵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주로 소형 전자 제품인 스마트폰, 저가형 넷북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보통 노트북 가격이 20 만원~30 만원 수준이라면, 저가형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저렴한 eMMC가 탑재되어 있을 확률이 매우 큽니다.

⑶ eMMC 용량은 보통 32g이며, 64g, 최대 128g까지 확장할 수 있습니다.


2. SATA

* ATA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 고급 기술 결합이란 뜻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 시켜주는 인터페이스를 뜻합니다.

⑴ PATA (Parallel ATA)

- 병렬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133Mb/s 입니다.

⑵ SATA (Serial ATA)

- 직렬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PATA에 비해 데이터 전송하는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자연스럽게 PATA는 더 이상 개발되지 않고 있습니다.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1.5Gb/s 입니다. (SATA 1 기준)

 ① mSATA (mini SATA)

 - 소형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데이터를 확장하거나, 무선 모듈을 장착할 때 주로 사용됐습니다. SSD와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② SATA 1.0 - 데이터 최대 전송 속도 1.5Gb/s

 ③ SATA 2.0 - 데이터 최대 전송 속도 3Gb/s

 ④ SATA 3.0

 - 데이터 최대 전송 속도 6Gb/s 입니다. SATA 3.0 인터페이스 속도가 매우 빠르며  SSD와 호환이 잘 이루어져 최적의 데이터 전송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그러나, SSD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SATA 3.0과의 데이터 처리 속도 수준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현재, PCI-express 기반의 M.2, NVME SSD가 출시되며 SATA 3.0 규격의 SSD는 많이 사라지게 됐습니다. 중고 노트북 시장에서 SATA 3.0 SSD가 탑재된 노트북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추가 설명으로, 2017년 AMD는 라이젠 3세대 출시와 함께 PCIe 기술을 접목한 SATA 3.2 규격을 제시했습니다.


SATA 3.0 이후에는 PCIe (PCI-express)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규격의 SSD가 출시되었습니다.

이후 개발된 추가적인  SSD 종류에 대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