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wnism입니다.
앞의 포스팅에서 SSD와 관련한 기본적인 용어 및 eMMC, SATA 규격의 SSD를 설명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고성능인 M.2, M.2 NVME 규격의 SSD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PCIe (PCI-express) ]
- CPU, RAM 등 주요 장치들이 장착되는 메인 보드에 그래픽 성능을 높여주거나, 음질을 향상 시키는 등 별도의 추가 확장 카드를 결합하여 I/O(Input and Output) 성능을 높여주기 위한 규격입니다.
⑴ PCIe 버전은 1.0, 2.0, 3.0 등 숫자가 높을수록 데이터 교환 속도가 빠릅니다. 현재 PCIe 6.0 버전이 출시됐으며,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256Gb/s로, 인공지능과의 데이터 교류를 위한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⑵ 메인 보드의 길이가 길수록 빠른 속도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x1, x4, x8, x16 중 PCIe x16 슬롯이 가장 빠르며, 가장 많이 쓰고 있습니다.
[규격에 따른 SSD 종류]
3. M.2
- M.2는 메모리 확장 카드와 데이터를 교류할 수 있는 커넥터 규격입니다. PCIe 3.0, SATA 3.0 포트와 호환이 가능하며, 대용량 저장장치 SSD와 USB 3.0에서 사용하는 규격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⑴ 내장형 메모리 카드가 아니며, 메인 보드에 여분의 슬롯이 있다면 M.2 SSD를 추가 장착할 수 있습니다. 쉽게 장착이 가능하며 그 즉시 업그레이드가 적용됩니다.
⑵ PCIe와 호환하여 사용하며, 데이터 교류 속도가 빨라 울트라북, 고성능 노트북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최대 전송 속도는 10Gb/s 입니다.
4. M.2 NVMe (Non-Volatile Memory express)
- SSD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데이터 전송 규격입니다. 데이터가 저장되고 기억되는 메모리의 인터페이스와 PCIe가 접목하여 막대한 데이터를 아주 빠르게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새로운 통신 규격을 제시한 것입니다.
⑴ M.2 규격과 마찬가지로, 메인 보드에 추가 장착이 가능하며 그 즉시 업그레이드가 적용됩니다.
⑵ 단일 규격으로도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Gb/s 수준이며, PCIe와 교류를 통해 더 높은 대역폭을 갖추고 전송 속도를 증대 시킬 수 있습니다.
⑶ 높은 대역폭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지만, 그만큼 발열이 심한 문제가 있습니다.
⑷ 근래 출시되는 노트북의 메인 보드 슬롯 중 한 군데 이상은 NVMe SSD가 호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 노트북도 PCIe 기반의 NVMe SSD 256GB가 장착되어 있으며, 최대 SSD 1TB까지 추가 확장이 가능합니다.
노트북을 구매할 때, 우선 저장장치가 HDD인지 SSD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노트북에는 SSD가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확인해야 할 부가 요소가 바로 어떠한 규격과 접목되어 있는지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속도와 성능에 대해 요약하자면, NVMe SSD > M.2 SSD > SATA SSD > eMMC 순서로 좋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가격도 비싸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저장 장치 성능이 우수해야 모든 작업을 처리할 때, 빠르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노트북을 구매할 때 놓치지 말고 확인해야 할 부가 요소로써, 규격에 따른 SSD에 대한 내용을 두 번의 포스팅으로 나누어서 작성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노트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소에 따른 디스플레이 해상도 용어 설명 및 FHD 노트북이 많은 이유 (0) | 2020.06.30 |
---|---|
노트북, 컴퓨터 등 전자기기에 있는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에 대한 개념 설명 (0) | 2020.06.29 |
노트북을 구매할 때 놓치지 말고 확인해야 할 부가 요소 : eMMC, SATA (0) | 2020.06.25 |
14인치 사무용 가성비 노트북 추천 : 한성컴퓨터 언더케이지 TFX4450HW (0) | 2020.06.24 |
노트북 구매를 고민할 때 참고하면 좋을 사이트, 다나와를 추천합니다. (0) | 202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