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트북

컴퓨터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Jwnism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전에 다뤘던 CPU, 그래픽 카드, 메인 보드 등이 바로 하드웨어에 속한 부품들입니다. 하드웨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주로 소프트웨어에 대해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하드웨어]

-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실질적인 부품들을 하드웨어라고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CPU, I/O포트, 모니터, 주회로 기판, 그래픽 카드 등이 바로 하드웨어입니다. 컴퓨터가 만들어진 가장 큰 이유이자 근본적인 기능인 입력, 출력, 연산, 제어, 기억을 담당하는 장치들을 일컫습니다.


[소프트웨어]

1) 시스템 소프트웨어

- 하드웨어의 기능이 잘 실행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시스템 기반을 다져 놓는 소프트웨어입니다. MS 윈도우, 리눅스, 맥 OS 등 운영 체제와 바이오스(BIOS),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등이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⑴ 운영 체제

① MS Window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운영 체제로, 윈도우95를 시작으로 발전되었으며 현재는 윈도우10이 전세계적으로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② MAC OS : 애플의 운영 체제로써, 맥북 컴퓨터에서는 OS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는 iO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③ 리눅스 - 리누스 베네딕스 토르발스가 개발한 운영 체제로써,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복제할 수 있고 수정할 수 있으며 다시 재배포할 수 있는 운영 체제입니다. 대부분의 데스크톱 컴퓨터와 스마트폰은 리눅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의 안드로이드도 리눅스를 기반으로 변형 출시한 운영 체제입니다.


⑵ 드라이버

-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고, 무선 랜, 오디오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장치를 세팅하는 드라이버도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장치 드라이버는 중앙 처리 장치와 상호 교류를 통해 시스템이 운용되어집니다. 각 컴퓨터 제조사의 홈페이지에서 수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USB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습니다.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 노트북의 경우, 에이서 전용 홈페이지 드라이버 게시판에서 무선 랜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등을 다운로드했습니다. 무료로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노트북이 출시되면서 CPU에 함께 설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치 드라이버의 경우, CPU의 명령 하에 데이터가 입력과 출력이 됩니다. 반면, 유료로 설치해야 하는 소프트웨어들도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에이서 홈페이지에서 장치 드라이버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 정말 만족스럽습니다.


⑶ 펌웨어

- 중앙 처리 장치에서 다뤄지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보조 기억 장치와 주 기억 장치에서 처리되는 소프트웨어로, 바이오스가 대표적인 펌웨어입니다. 바이오스 모드에서 기본적인 입출력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에이서 노트북의 경우, 노트북 전원을 누르자마자 F2를 누르면 바이오스 모드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프리도스 노트북을 구매할 경우, 바이오스 모드에 진입해서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각 제조사마다 바이오스 진입 단축키가 다르니까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2) 응용 소프트웨어

- Word, Excel, PPT 등 MS OFFICE는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여러가지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응용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 체제 버전과 맞춰서 특정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엄밀히 따지면 응용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운영 체제의 노트북에서는 MS OFFICE 제품군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맥 OS 운영 체제에서도 MS OFFICE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는 이진법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0과 1의 비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고 저장하고 처리하게 됩니다. 이때, 하드웨어와 접목하여야만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습니다. 각각 독립적으로는 운용될 수 없으며 반드시 상호 작용을 해야만 정상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이 발휘할 수 있습니다.

⑴ 악성 소프트웨어

- 보통 바이러스로 잘 알려진 악성 소프트웨어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루트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 악성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확률이 매우 큽니다.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하이재커 등 다양한 악성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며,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던 악성 소프트웨어 2개를 설명하겠습니다.

① 트로이 목마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유사한 모습을 갖춘 악성 프로그램으로,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악성 바이러스가 컴퓨터 내부로 퍼지게 됩니다.  특정한 이유가 없는데 갑자기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느리다고 느낄 경우, 트로이 목마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② 랜섬 웨어 : 가장 최근까지 퍼져있던 악질의 바이러스로, 랜섬 웨어에 감염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정 금액의 돈을 해커에게 지불해야 합니다. 운영 체제를 악성 프로그램으로 잠궈 사용자가 돈을 지불할 때까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 윈도우 기반의 노트북에서 랜섬 웨어가 침투하여 수많은 피해자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에이서 스위프트3 SF314-42 노트북을 구입하기 전, 삼성 노트북을 사용했었습니다. 악성 소프트웨어 중 한 개인 랜섬 웨어에 감염되어 노트북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에이서 노트북을 새로 구입하게 된 것입니다. 무료로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는 사이트를 발견하고 접속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노트북 전원을 끄고 다시 실행했을 때, 돈을 요구하는 문구가 적힌 프로그램이 모니터 상에 떠있었습니다. 노트북을 재부팅을 해도 랜섬 웨어에 감염된 것이 해결되지 않아,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과 파일을 버리고 새로운 노트북을 구매하게 됐습니다.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되지 않으려면, 정상적인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며, 개인이 만든 사이트에는 접속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상으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